신간도서

  • 도서목록
  • 신간도서
이 책 자세히보기 화산도소설어사전_앞표지.jpg
큰 이미지보기
화산도 소설어 사전
저자 : 화산도 소설어 사전 편찬팀 엮음
ISBN : 979-11-6587-720-0
발행일 : 2024-05-28
정가 : 35,000
쪽수 : 472

<트리콘 세계문학 총서 8>

 

화산도 소설어 사전을 펼치면

김석범의 《화산도》에 닿을 것이다

 

 

 

 

방대한 분량의 한국어 번역본 《화산도》,7년여 사전 편찬 작업의 결과물 출간

 

김석범의 대하소설 《화산도》가 완역된 후, 연구자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은 물론, 이 작품을 대상으로 한 인접 문화예술 분야에서 창조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작품의 이해를 돕는 사전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은 집필진은 사전 편찬을 기획한다. 2017년 본격적인 편찬 작업을 시작한 《화산도 소설어 사전》은 방대한 분량의 원고와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다듬어 7년여 만에 완성한 결과물이다. 

이 사전은 《화산도》 12권에서 시대・인물・지명・풍속의 항목을 선정하고, 역사・시대에 준하는 용어와 대부분의 등장인물, 지명과 장소, 제주의 풍속 등의 소설어(표제어) 645개를 가려 뽑았다. 이 사전은 소설어를 중심으로 화산도를 새로이 읽게 하고, 각 항목의 소설어가 쓰인 용례와 상세한 풀이는 《화산도》를 한층 더 넓고 깊게 이해시킨다. 여기에 항목별로 엄선한 자료(4・3사건 연표, 인물 관계도, 지도)는 소설의 이해를 더하고 관련 지식을 확장시킨다. 이 사전이 널리 읽혀 교육 및 각종 문화예술 콘텐츠 등 다양한 측면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4・3문학의 상징적 인물 김석범의 《화산도》

 

김석범의 《화산도》는 제2차 세계대전 후 해방공간에서 명멸해간 ‘해방 주체’의 정동(情動, affection)을 물 막힌 섬 제주에서 일어난 ‘4・3혁명’의 시계(視界)로 추적한다. 재일조선인 작가 김석범은 국가권력의 폭력에 의해 무참히 스러져간 패배한 혁명에 대한 비운의 역사를 재현하는 게 아니라 제주의 들녘과 오름, 그리고 바다에서 스러지는 제주 민중의 장엄하고 아름다운 삶의 가치를 되살려내고 싶은 것이다. 그리하여 해방공간에서 왜곡되고 뒤틀린 ‘4・3혁명’의 진실을 추구하는 도정에서 잃어버렸던, 아니 애써 지워버린 ‘해방 주체’로서 제주 민중의 정치적 삶을 올곧게 재현하고 싶은 것이다.

여기서, 분명히 짚고 넘어갈 것은 《화산도》가 제주중심주의에 갇혀 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4・3혁명이 함의하는 정치사회적 해방의 가치가 웅변해 주듯, 《화산도》는 제주중심주의에 구속되지 않고 해방공간에서 추구해야 할 일제 식민주의로부터 진정한 해방과, 또 다른 제국으로 등장한 미국과 옛 소련 중심의 냉전 대립 구도 속에서 조국 분단의 현실에 대한 저항을 문학적으로 실천하고 있음을 간과할 수 없다. 이것은 구차한 말이 필요 없듯, 《화산도》가 다루고 있는 해방공간을 살고 있는 사람들의 구체적 모습에서 이해할 수 있다.

바로 여기서 《화산도 소설어 사전》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국어로 12권에 걸쳐 완역된 《화산도》는 대하소설로서 등장하는 인물과 그에 따른 장소와 사건이 다채롭다. 가령, 이 작품이 4・3혁명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는 이유로, 제주라는 한정된 장소와 공간을 주목할 때 다소 단조롭겠다는 생각을 지레 가질 수 있으리라. 하지만 《화산도》에서 다뤄지고 있는 장소와 공간 그리고 사건들은 제주도와 한반도는 물론 일본 열도까지 포괄하고 있다. 따라서 자연스레 이들 지역을 두루 포괄한 해방공간의 다양한 모습들이 서사화되고 있다. 물론, 여기에는 크고 작은 사건들과 연계된 여러 인물들 또한 등장한다. 말하자면, 《화산도》는 해방공간에 대한 재일조선인 작가의 인문지(人文知)를 천착한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머리말 중에서

 

차례 --------------------------------------------------------

 

시대 - 항목 색인 / 4・3사건 연표 / 시대

인물 - 항목 색인 / 인물 관계도 / 인물

지명 - 항목 색인 / 지도 / 지명

풍속 - 항목 색인 / 풍속

부록 - 김석범 연보 / 참고자료 / 총 색인

 

사전 편찬팀 소개 ----------------------------------------------

 

편찬 책임자     고명철

책임편찬         박보름・최동일

편찬자            고명철(광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 김문정(동국대학교) / 박보름(문화예술교육사)

                       손병현(소설가) / 유승호(경희대학교) / 천유철(인문학자) / 최동일(출판기획자) /

                       최빛나라(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하단영역